세계 경제

오늘의 세계경제 - 2025년 세계경제 전망 요약

도츠(Dotz) 2025. 6. 23. 21:02
  1. 2025년 세계경제 성장 전망:
    • 2025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2.7%로 예측되며, 이는 2024년 대비 0.5%p 하락한 수치.
    • 2026년에는 2.9%로 소폭 반등할 전망.
      선진국 및 신흥국 성장률 추이
  2. 주요 선진국 경제 전망:
    • 미국은 보호무역주의 영향으로 소비와 투자가 둔화되며 1.3% 성장 예상.
    • 유럽은 0.8%의 저조한 성장률, 일본은 0.6% 성장 전망.
    • 스페인은 민간 소비와 관광 확대로 2.6% 성장 예상.
  3. 신흥국 경제 전망:
    • 중국은 4.1% 성장으로 회복세 지연.
    • 인도는 민간 투자 및 정부 지출 확대를 통해 6.4% 성장 유지.
    • 러시아와 브라질은 각각 2.0%, 2.1% 성장으로 부진 예상.
  4. 글로벌 주요 리스크:
    • 미국과 주요국 간 무역전쟁 심화.
    • 인플레이션 재발과 통화정책 불확실성.
    • 금융 불안 및 부채 위기.
      미국의 관세 부과 지도 그림
  5. 세계 교역 전망:
    • 2025년 세계 교역량은 1.7% 성장, 2026년은 2.5% 성장 예상.
    • 미국 관세 정책과 글로벌 통상 환경 불확실성이 주요 하방 요인.
  6. 설문조사 결과:
    • 전문가들은 2025년 세계경제의 주요 리스크로 무역 갈등 심화를 지적.
    • 2025년 말 미국 기준금리는 평균 3.8%로 예상됨.
  7. 서비스 및 상품 교역:
    • 2024년 세계 서비스 교역은 9% 증가하며 여행과 운송서비스가 주요 성장 요인.
    • 상품 교역은 인플레이션 완화에도 불구하고 지정학적 긴장으로 증가세 제한.

 

미국, 일본, 유럽, 중국에 대한 2025년 세계경제 전망 및 주요 사항

국가 2025년 성장률 주요 요인 2026년 전망
미국 1.3% 보호무역주의, 소비 및 투자 둔화 1.6% (소폭 반등)
일본 0.6% 관세정책 영향, 높은 물가 0.4% (둔화)
유럽 0.8% 무역·투자 위축, 정치적 불안정 1.0% (독일 반등)
중국 4.1% 무역 갈등, 부동산 침체 4.0% (소폭 감소)

 

미국

  • 성장률: 2025년 성장률은 1.3%로 예측, 종전 전망치보다 0.8%p 하향 조정.
  • 주요 특징:
    • 보호무역주의 심화로 소비와 투자가 둔화.
    • 관세 부과로 인한 물가 상승과 투자 지연이 주요 하방 요인.
    • 통화 및 재정 정책의 여지가 제한적(상하원의 갈등 지속).
  • 2025년 금리 전망: 미국 기준금리는 2025년 말 평균 3.8%로 예측.
    • 금리 인하 가능성은 있으나, 인플레이션 지속 우려로 연준의 긴축 완화가 제한적.
    • 관세 인상 및 감세 정책으로 인한 재정지출 확대가 금리 정책에 영향을 줄 가능성.
  • 2026년 전망: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존재. 경제 안정화 및 기저효과가 반영될 전망.
  • 향후 전망:
    • 2026년 성장률은 금리 인하와 기저효과로 소폭 상승한 1.6% 전망.

일본

  • 성장률: 2025년 성장률은 0.6%로 예측, 종전 전망치보다 0.4%p 하향 조정.
  • 주요 특징:
    • 임금 인상과 정부의 산업 정책으로 내수가 다소 회복.
    • 그러나 미국 관세정책의 영향으로 수출 둔화와 기업 투자 위축 예상.
    • 높은 소비자물가 상승률 지속.
  • 2025년 금리 정책:
    • 일본은행은 2024년 초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.
    •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으나, 높은 물가 상승률이 부담 요인.
  • 정책 방향: 통화정책 기조는 물가 안정과 경기 회복을 동시에 추구.
  • 향후 전망:
    • 2026년에는 성장률이 0.4%로 둔화 예상.

유럽

  • 성장률: 2025년 유럽 전체 성장률은 0.8%로 저조.
    • 독일: 0.0%
    • 프랑스: 0.6%
    • 이탈리아: 0.5%
    • 스페인: 2.6%
  • 주요 특징:
    • 미국의 보호무역주의로 인한 무역 및 투자 위축.
    • 독일, 프랑스, 이탈리아는 저조한 성장률 기록.
    • 스페인은 민간소비와 관광산업 성장으로 양호한 성장세.
  • 2025년 유럽중앙은행(ECB):
    • 미국발 무역전쟁과 자국 내 물가 상승으로 금리 정책 불확실성 확대.
    • 금리 인상 기조는 일부 완화될 가능성이 있으나, 경기 침체 방지를 위해 신중한 접근 예상.
  • 향후 전망:
    • 독일은 2026년 5,000억 유로 규모의 인프라 투자로 1.0% 반등 전망.

중국

  • 성장률: 2025년 성장률은 4.1%로 예상, 종전 전망치와 동일.
  • 주요 특징:
    • 미국과의 무역 갈등, 부동산 시장 침체 등으로 회복세 지연.
    •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소비 및 투자 심리 위축.
    • 소비재 교체 촉진 정책과 건설 인프라 투자 확대 추진.
  • 2025년 금리 정책:
    • 경기 부양을 위해 저금리 정책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음.
    • 부동산 시장 침체 및 내수 회복을 위해 적극적인 통화 완화 기조 지속.
  • 특이점: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대출금리 인하 및 유동성 공급 확대 예상.
  • 향후 전망:
    • 2026년 성장률은 4.0%로 소폭 감소 예상.
    • 미·중 무역갈등의 지속으로 대외 불확실성 상존.

 

출처 : https://www.kiep.go.kr/gallery.es?mid=a10102020000&bid=0003